1746079012510

통합검색

검색

검색어 "" 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검사항목 [3234 건]
  • α-Galactosidase (GLA)_Fabry
    검사코드 : 16290
  • α-L-Iduronidase (IDUA)_MPS I
    검사코드 : 16292
  • 검사
  • 검사항목조회
전체 검사항목 더보기
검체용기 [60 건]
  • 408.Vaccum tube 채혈세트
  • 25.Sodium citrate tube
  • 검사
  • 의뢰/관리
  • 검체용기
전체 검체용기 더보기
의뢰서 [51 건]
  • 50.일반 검사의뢰서
  • 51.산부인과 검사의뢰서
  • 검사
  • 의뢰/관리
  • 의뢰서
전체 의뢰서 더보기
공문 [837 건]
  • 고객서비스
  • 공문
전체 공문 더보기
학술 리플릿 [88 건]
  • 306.면역조직화학염색
  • 562.VENTANA CLDN18 (43-14A) 검사
  • 고객서비스
  • 자료실
  • 학술 리플릿 조회
전체 학술 리플릿 더보기
감염과 관리 [11 건]
  • 375.감염과 관리 통권 11호
  • 377.감염과 관리 통권 10호
  • 고객서비스
  • 자료실
  • 감염과 관리
전체 감염과 관리 더보기
학술발표 [311 건]
  • ESCMID
    (Vienna, Austria)
    Molecular Surveillance Results of N. gonorrhoeae in Korea...
    2025-04-25
  • ESCMID
    (Vienna, Austria)
    Seroprevalence of Bartonella henselae IgG among healthy population in Korea and associated risk factors...
    2025-04-25
  • 고객서비스
  • 자료실
  • 학술발표 조회
전체 학술발표 더보기
학술칼럼 [48 건]
  • [SCL 칼럼] 방역강화에도 급증…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주의보
    SCL은 전문의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칼럼은 ‘방역강화에도 급증…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주의보’를 제목으로  헬스경향(1월 19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칼럼] 방역강화에도 급증…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주의보 SCL 배혜경 전문의(진단검사의학과) 코로나19 이후 개인위생은 물론, 방역관리가 강화되면서 수두나 결핵 등 상당수의 감염병 발생이 줄었다. 하지만 노로바이러스나 일부 호흡기질환의 유행은 발생시기와 연령대가 변화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겨울철에서 이듬해 초봄(11월~4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특히 겨울철에 유행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시행한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은 3.2%(156건 중 5건)로 전년 대비 (8.4%, 119건 중 10건) 다소 줄었지만 12월 2주차(18.6%, 43건 중 8건)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5주차에는 25.6%(43건 중 21건), 올해 첫 주에는 39.1%(23건 중 9건)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겨울철 생존력이 강한 노로바이러스 특성상 추위가 계속되는 2월까지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노로바이러스는 적은 바이러스 양으로도 전파 가능하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섭취뿐 아니라 오염된 손으로 만진 문고리 등 물건의 접촉을 통해 또는 감염된 사람과의 긴밀한 접촉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때문에 병원, 크루즈선, 군대, 학교, 호텔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집단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집단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으로 꼽힌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식품을 먹고 24~48시간이 지나면 1~3일 미열과 구토, 오한, 설사 등 증상을 보이다 5일 이내 회복되지만 어린이와 노약자, 임신부는 탈수증상만으로 위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구토와 설사 외에도 발열, 두통 및 근육통 같은 전신증상이 동반되는 등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검사를 통해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이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음식은 익혀 먹고 물은 끓여먹는 등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올바른 손 씻기, 환경 소독 등을 실시하고 환자의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 또는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한 소독을 올바른 절차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럼보기: 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14 SCL은 전문의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칼럼은 ‘방역강화에도 급증&he...
    2022-01-21
  • [SCL 칼럼] ‘혈액점도검사’로 심뇌혈관질환 진단 유용성↑
    SCL은 전문의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칼럼은 ‘혈액점도검사로 심뇌혈관질환 진단 유용성↑’을 제목으로 헬스경향(10월 29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칼럼] ‘혈액점도검사’로 심뇌혈관질환 진단 유용성↑ 조아라 SCL 전문의(진단검사의학과) 겨울철에는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뇌출혈 등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이 급증한다.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심뇌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로 전체 사망원인의 24.5%를 차지했다.  특히 겨울철에는 따뜻한 실내에 있다 밖의 찬 공기에 노출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혈압과 심장박동수가 갑자기 상승한다. 이때 심장도 큰 부담을 받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최근에는 심근경색, 뇌경색, 과다점성증후군 등 심뇌혈관 및 순환기질환 진단을 위해 혈액의 끈끈한 정도를 측정하는 ‘혈액점도검사’가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신의료기술로 채택돼 유용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은 혈액점도검사는 소량의 혈액 채취만으로 검사가 가능하고 심뇌혈관질환을 비롯해 말초혈관질환, 과다점성증후군 진단과 치료, 경과 관찰에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뇌혈관질환환자의 혈액점도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액점도 증가와 동맥경화는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말초혈관질환에 영향을 주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과 비만 등은 높은 혈액점도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과다점성증후군의 원인은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진성적혈구증가증, 패혈증 등에 의한 혈액점도의 지나친 증가로 보고된 바 있다.  심뇌혈관질환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주요 만성질환 가운데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조기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혈액점도검사는 수축기는 물론 기존 검사방법으로 측정하기 어려웠던 이완기 혈압 상태의 혈액점도까지 측정할 수 있어 검사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였다. 정기적인 혈액점도검사는 심혈관·뇌혈관·말초혈관질환의 조기질환 위험도 개선과 향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매우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다점성증후군 : 특정 혈액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 과다는 혈액의 끈적함(점성)을 증가시켜 혈액이 혈관을 천천히 통과하게 한다. 손상 부위는 피부, 손가락, 발가락, 코 및 뇌 등으로 혈류의 흐름이 떨어지고 제한된다. 증상은 혈관 내 혈액이 넘쳐서 혈액 누출로 피부가 변하고 코피, 잇몸 출혈이 발생한다. 거대 글로불린혈증 같은 혈액암에서 발생하며 심장에서는 심부전, 뇌에서는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칼럼보기 : http://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6255           SCL은 전문의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칼럼은 ‘혈액...
    2021-11-04
  • 고객서비스
  • 자료실
  • 학술발표
  • 학술칼럼 조회
전체 학술칼럼 더보기
언론보도 [379 건]
  • [보도자료] SCL,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여
    2025년 4월 30일, 'SCL,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여' 보도자료가 게재되었습니다. [보도자료] SCL,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여 재단법인 서울의과학연구소(SCL)가 '대한진단면역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에 참여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는 '진단면역학의 실제 적용에서 미래 혁신에 이르기까지(From Real-World Applications to Future Innovations in Diagnostic Immunology)'를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진단면역 분야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학술대회는 '검사수행단계에서의 질관리 실제' 교육 워크숍을 시작으로 '진단면역 신속검사 기술개발부터 성능시험까지', '간접면역형광법은 대체되어야 하는가?', '유세포검사의 활용과 정도관리' 등 3가지 심포지엄 세션으로 이어졌다. SCL은 학회 기간 동안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진단검사 분야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가 세션 좌장으로 참여해 참석자들과 최신 지견을 교류했다. 특히 심포지엄 1(진단면역 신속검사 기술개발부터 성능시험까지) 세션에서는 SCL 아카데미 임환섭 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동료 연구자들과 활발하게 의견을 나누며 학술적 논의의 깊이를 더했다. 한편, SCL은 1983년 국내 최초 검사 전문기관으로 설립되어 체계적인 검체 분석 서비스를 통해 국민 건강증진과 의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1998년 국내 최초로 세계적 정도관리 기관인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로부터 인증을 획득했고, 2021년에는 '국제 공인 메디컬 시험기관 ISO 15189 인정'을 획득하는 등 검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게재매체: 보건뉴스 등 3개 매체 -보건뉴스 http://www.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259315 -e-의료정보 https://www.kmedinf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125 -의계신문 https://www.med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5798 2025년 4월 30일, 'SCL,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 ...
    2025-04-30
  • [보도자료] SC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춘계 심포지엄 강연 진행
    2025년 4월 7일, 'SC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춘계 심포지엄 강연 진행' 보도자료가 게재되었습니다. [보도자료] SC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춘계 심포지엄 강연 진행 재단법인 서울의과학연구소(이하 SCL)는 최근 열린 '202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춘계 심포지엄'에 참여해 진단검사 분야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교류했다고 7일 밝혔다. 4월 3일부터 4일까지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은 '진단검사의학-의료의 필수영역(Laboratory Medicine in Core Entity of Healthcare)'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진단검사의학이 담당해 온 역할과 중요성을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심포지엄 기간 동안 SCL은 전시 부스를 운영하는 한편, 학술 세션에 연자로 참여해 임상 진단기법의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특히, 'Symposium 2 – 생애주기에 따른 필수 진단검사기법' 세션에서 SCL 오종원 진단검사의학과 부원장이 '퇴행성 뇌질환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최신 동향과 임상적 유용성'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해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주목을 받았다. 한편, SCL은 1983년 국내 최초 검사 전문기관으로 설립되어 체계적인 검체 분석 서비스를 통해 국민 건강증진과 의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1998년 국내 최초로 세계적 정도관리 기관인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로부터 인증을 획득했고, 2021년에는 '국제 공인 메디컬 시험기관 ISO 15189 인정'을 획득하는 등 검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게재매체: 보건뉴스 등 7개 매체 -보건뉴스 http://www.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258189 -의계신문 https://www.med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849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5838 -헬스경향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80054 -라포르시안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678 -데일리메디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23510 -재활뉴스 https://www.rehab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2362 2025년 4월 7일, 'SC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춘계 심포지엄 강연 진...
    2025-04-15
  • 새소식
  • 언론보도 조회
전체 언론보도 더보기
인증서 [40 건]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우수검사실신임인증서
    2022-07-15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수탁기관인증서
    2022-07-15
  • 재단
  • 인증서 조회
전체 인증서 더보기

chatbot 대표번호 180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