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6061208284

검사

관리방법

  • icon
  • 검사
  • 의뢰/관리
  • 관리방법
  • 검사 전 단계

검사 전 단계

검사를 위해 환자를 준비시키고 검체를 채취하며 검체를 검사실로 운반 및 보관하는 모든 과정을 말합니다.
1.검체 채취 전 변동요인

1) 생리적인 요인

  • 호르몬, 철, 요 단백 및 전해질 등은 하루 중 시간에 따라 농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시간에 채취하여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은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직립자세는 정수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장을 감소시키고,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 나이, 성별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집니다.
변동요인 내용
일중 변동
  • - Cortisol: 새벽 4-6시에 가장 높고, 저녁 8-12시에 가장 낮음
  • - Iron: 아침에 높고 하루 종일 30%까지 감소
  • - Prolactin: 새벽 4-8시, 저녁 8-10시에 높음
  • Acid phosphatase, Growth hormone 저녁과 밤에 높음
  • ACTH, Renin activity, Aldosterone, Insulin 밤에 낮음
운동
  • - 일시적 영향
  • AST, CPK, Free fatty acid, Lactic acid, 혈액응고, 섬유소용해, Platelet 등 활성화 됨
  • 에너지를 얻기 위한 대사활동의 증가와 연관이 있으며 운동을 멈추면 일반적으로 운동 전 상태로 돌아감
  • - 운동에 의한 지속적 영향 Aldolase, AST, CPK, LDH
  • - 장기간 유산소운동 시 영향 AST, ALT, CPK, LDH
  • - 장거리 육상선수 Prolactin
  • 성선자극호르몬,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식이
  • 식후 Glucose, Triglyceride (TG)
  • 금식 Bilirubin
  • Glucose
스트레스
  • ACTH, Cortisol, Catecholamine, Cholesterol, total, Prolactin
  • HDL Cholesterol
자세
  • - 누워 있다가 앉은 자세로 바꾸기만 해도 Albumin, Calcium 증가 할 수 있음
  • -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 Hemoglobin
  • - 지혈대를 장시간 사용 시
  • Lactic acid, Calcium (Ca), Cholesterol, total, Protein, total, Triglyceride (TG)
흡연
  • Carboxy Hb, Catecholamine, Cortisol, Neutrophil, Monocyte, Free fatty acid, 비정상적인 형태의 정자
  • Eosinophil, IgA, IgG, IgM, Sperm 수, 운동성

2) 간섭 요인

  • 황달 검체 및 고지혈증의 경우는 여러 검사 측정에 영향을 주거나, 간섭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변동요인 내용
용혈
  • - 주사바늘 굵기 : 25 gauge 이상으로 너무 작거나, 19 gauge 이하로 너무 큰 경우
  • - 혈액을 채혈관에 넣을 때 압력을 세게 가한 경우
  • - 채혈관을 심하게 흔들었을 경우
  • - 알코올이 마르기 전에 채혈한 경우
  • AST, ALT, Calcium (Ca), Inorganic phosphate (Pi), LDH, Potassium (K)
  • Glucose, Sodium (Na)
혈액농축
  • - 채혈하기 전 15-20분 동안은 누워 있는 것이 좋음
  • - 지혈대를 오래 묶어 놓으면 혈액 농축으로 측정치가 높아짐
  • - 항응고제 혼합이 잘 안되어 응괴가 생긴 경우 혈구세포 수 검사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2. 검체 채취

※ 검체 채취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환자 착오
  • 검체 표기 오류
  • 검체량 부족/ 잘못된 항응고제와 혈액 간 비율
  • 혼합 오류/ 응고 형성
  • 잘못된 채혈관/ 잘못된 항응고제
  • 용혈/지혈증
  • 혈액농축
  • 빛 노출/극단적인 온도
  • 부적절한 시기에 채취된 검체/ 검사실로의 검체 운반 지연
  • 검체 처리과정 중의 문제: 불완전한 원심분리, 부적절한 검체 보관

출처: 진단검사의학(제5판)

  • 검체는 적절한 시기에 검사항목에 맞게 해당 전용용기에 충분한 양을 채취하여야 합니다.
  • 여러 종류의 검체가 요구될 경우 다음 순서에 의해 채혈하여 항응고제의 오염을 방지합니다.
image
  • 검체 채취 시 환자에게 직접 확인 후 환자의 인적 정보(환자명, 성별, 생년월일, 연령, 차트번호 등)를 적어도 2개 이상 반드시 기록하십시오.
  • 동일 환자에서 1개 이상의 검체종류가 필요한 경우 라벨에 검체명과 검사명을 각각 기록하여 주십시오.
  • 동일 환자에서 시간대별로 연속검사를 시행한 경우 채취한 검체는 날짜, 번호, 채취 시간를 정확하게 기록하여 주십시오.

chatbot 대표번호 180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