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6078106961

검사

관리방법

  • icon
  • 검사
  • 의뢰/관리
  • 관리방법
  • 바이러스 검사

바이러스 배양검사를 위한 검체 관리

바이러스감염 시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일반 세균의 검출방법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바이러스 배양 검사

1) 일반적인 채취 및 운송

  •  채취 시기는 바이러스 농도가 높은 감염 초기가 좋습니다.
  •  체액, 삼출액, 조직, 상기도 세척액, 분변 등을 검사합니다.
  •  운송 배지(UTM)에는 세균억제제가 있으나, 적어도 3-4일 내에는 검사해야 합니다.
  •  장기간 보관 시 -70℃에서 냉동 보관합니다. (이때 냉동 검체는 해동을 막기 위해 드라이아이스와 함께 운반합니다.)
  •  CMV 배양용 검체는 냉동해서는 안됩니다. 전혈(whole blood) 검체는 휴일 전날이나 토요일에 접수되지 않도록 합니다.
  •  검체 채취 후 2-4시간 이내에 검사실로 운반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적어도 1일 이내에 도착되어야 합니다.
  •  채취 후 1시간 이내에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참고사항

※ 바이러스 배양용 Universal Transport Media (UTM)를 사용합니다.

  • UTM 전용용기의 장점
  • 실온에서 최대 5일 동안 검체가 안정합니다.
  • UTM은 Chlamydia spp., Ureaplasma spp., Mycoplasma spp.에서도 사용됩니다

2) 호흡기바이러스 검사 안내

(1) 검체 채취와 보관

검체 종류 검체량 검체 용기 참고사항
상부호흡기 검체 Nasopharyngeal aspirate 3 mL UTM
(바이러스수송배지)
  • 증상 발현 후 2일 이내에 채취
  • Aspirate가 swab보다 분리율이 우수
Nasopharyngeal swab
Throat swab
상부호흡기 검체 Transtracheal aspirate 3 mL
  • 증상 발현 후 2일 이내에 채취
  • Aspirate가 분리율이 가장 우수
Bronchoalveolar lavage 10 mL
Induced sputum 3 mL

※ 검체 유형별 바이러스 배양검사

검체 검체량 보관 채취 및 주의사항 검체용기
상부호흡기
Nasopharyngeal aspirate 3 mL 냉장
  • 증상 발현 후 2일 이내에 채취
  • Aspirate가 swab보다 분리율이 우수
image

Universal
Transport
Media
(UTM)

Nasopharyngeal swab
Throat swab
하부호흡기
Transtracheal aspirate 3 mL 냉장
  • 증상 발현 후 2일 이내에 채취
  • Aspirate가 분리율이 가장 우수
Bronchoalveolar lavage 10 mL
Induced sputum 3 mL
** DFA(직접항원검사)는 호흡기 분비물 검체만 검사 가능함
생식기(Genitourinary)
Cervical swab, Urethral swab, Semen 냉장
피부(Dermal)
Swab, Vesicle aspirate, Mucosal swab 냉장
안과(Ocular)
Conjunctival swab 냉장
Corneal or Conjunctival scraping
조직(Tissues)
All tissues 실온
분변(Stool)
분변(Stool) 2.0-4.0 g 냉장
직장 검체(Rectal swab)
혈액 배양용 검체(Blood)
혈액(Blood) 성인 5-10 mL
소아 3 mL
반드시
실온
  • 반드시 눕혀서 보관 및 이동
image

Sod. heparin tube

골수(Bone marrow) 2 mL 이상
체액 배양용 검체(Fluids)
뇌척수액(CSF) 2-5 mL 냉장 image

Conical tube

심낭액(Pericardial fluid) 2 mL 이상
흉막액(Pleural fluid) 2 mL
요(Urine) 10-20 mL

※ UTM 용기는 실온 보관도 가능

(2) Nasopharyngeal aspirate(비인두흡인액) 및 nasopharyngeal swab(비인두도말)

  • RSV나 parainfluenzavirus, influenzavirus의 분리에는 nasopharynx(비인두) 검체를 이용합니다. Nasopharyngealaspirate가 nasopharyngeal swab보다 바이러스 분리율이 우수합니다.
  • Nasopharyngeal aspirate는 벌브주사기 혹은 suction apparatus와 3-7 mL 완충식염수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합니다. 벌브를 꽉 쥐어 식염수를 주사하고 벌브를 풀어 흡인합니다. Nasopharyngeal swab은 콧구멍을 통해 비인두로 면봉을 넣어 채취합니다. 면봉으로 코 속을 닦아 빼내면 면봉에 코가 들러붙어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바이러스 검출에 좋지 않은 검체입니다.
image

(3) Throat swab(인후도말)

  • 환자의 입을 벌리고 반드시 아-소리를 실제로 내게 함
  • 왼손으로 설압자를 잡고 설압자로 혀를 누름
  • 오른손에 멸균면봉을 잡고 인두후벽을 면봉으로 360도로 3-4회 돌려 도말함
      * 이때 환자의 목젖을 건드리면 환자가 구역질하게 되므로 목젖을 피해서 도말하고, 혀나 구강점막, 이, 잇몸이 닿지 않도록 합니다.
    • 바이러스 분리율: 비인두도말>인후도말
    • 발병 후 수일 이내에 채취

(4) Bronchoalveolar lavage(폐포 세척액)

Bronchoscopy(기관지 내시경)하는 동안에 채취한 세척액은 호흡기바이러스 특히 influenzavirus와 adenovirus 검출에 뛰어납니다.

chatbot 대표번호 180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