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별소개

- 검사
- 검사실 소개
- 팀별소개
검사실 팀별 소개
SCL은 아시아 최대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 전문인력과 최첨단 검사장비를 기반으로 24시간 운영되고 있습니다. SCL은 1998년 국내 검사 전문기관 최초로 세계적인 정도관리기관인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로부터 인증을 획득한 후 현재까지 최상의 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자동화운영팀(접수/화학/면역)은 Roche CCM(cobas connection modules) system과 Siemens Aptio system 으로 이루어진 국내 최대 규모의 검사실자동화시스템(Total Laboratory Automation, TLA)을 활용하여, 일반화학검사, 특수단백검사, 약물중독검사, 호르몬검사, 간염바이러스검사, 종양표지자검사, 산전기형아검사, 전기영동검사 등 300여 종의 검사를 실시하는 팀입니다.
- 검체 접수부터 결과 전송까지 전 시스템 자동화로 이루어져 검사소요시간(TAT)을 단축시키고, 검사완료시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 최고 수준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질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일 검사 시 마다 일정 검체 수에 따라 내부정도관리를 실시하며 이는 전산화 되어 있어 항시 감시되고 있습니다. 외부정도관리로는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의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임상화학파트 8분야, 면역파트 17개 분야 이상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 CAP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survey는 1998년 국내 최초로 시행하여 현재 50여 개 Survey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Roche c70, Toshiba c8000, Roche e602, Siemens Centaur XP, Siemens Immulite 2000 XPi, Abbott Architect i2000, Beckman Unicel DxI, Siemens BN II, Helena Spife3000 등 60여 대의 분석장비로 일반화학 검사, 특수단백 검사, 약물중독 검사, 호르몬 검사, 간염바이러스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산전 검사, 전기영동 검사 등 300여 종의 검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Routine chemistry
- Lipase등 21종
- TDM검사 등
- TSH 외 42종
- HIV Ag/Ab 외 14종
- Urinalysis 10종, 16종
- 진단혈액검사실은 일반혈액검사(CBC), 골수검사, 혈액응고검사, 특수혈액검사, 당화혈색소(HbA1c), 혈액은행 검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혈액분석장비를 통해 나오는 검사결과와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임상의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를 진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CBC & Diff count, Reticulocyte
- Thrombin time외 19종
- 분자진단팀에서는 질병 감염 여부 등을 판정할 목적으로 혈액, 뇨, 타액, 골수 등의 각종 체액에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감염물질(세균,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 (DNA 혹은 RNA)를 추출하고 표적이 되는 염기서열의 primer를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증폭하여 바이러스나 미생물의 감염여부, 유전자의 재배열 양상 등을 진단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HBV DNA 정량, HCV RNA 정량, HIV RNA 정량
- HCV genotype
- HIV DR, HCV DR, HBV DR용 유전자 분석
- MERS
- PCR 종목 핵산 추출
- HPV genotype
- 성매개성 질환
- 호흡기 검사
- 인체 내에 감염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을 혈액배양 자동화시스템 도입과 함께 MALDI Biotyper로 실시간 동정 보고하며,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CLSI)의 지침에 따라 항균제 감수성 검사로 효과적인 감염치료를 위한 정확하고 신속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균 배양 및 동정검사
- 약제감수성검사
- Blood culture 자동화
- Virus Ag, Virus culture
- Occult blood 정량
- Ovaparasite
- 진단면역검사실은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하여 각종 바이러스 항체, 자가면역질환, ST2, NK cell activity 등의 면역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Europattern microscope 및 Sprinter XL, LIAISON, Allostation, ImmunoCAP 250 등의 장비로 약 120여 종의 검사를 실시하고 있고, 체계적인 내.외부 정도관리를 통하여 지속적인 질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유세포검사실
유세포검사실은 면역이상 확인에 중요한 T세포(세포매개면역), B세포(체액면역), 비특이적으로 표적세포를 파괴하는 NK세포 등의 분석을 시행합니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림프구면역표지자 검사(Lymphocyte subset-T cell, T4, T8, B cell, NK cell)는 각종 면역 결핍 질환 진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핵의학검사실
핵의학검사실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각종 호르몬, 비타민 계열, 그리고 자가항체 등을 검사하며 다양한 연구용검사를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Lymphocyte subset 5종
- MAST 62종 (음식물, 호흡기), MAST 93종
- EBV-EBNA IgM 외 15종
- 특수분석팀은 질량 분석기, 아미노산 분석기,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ICP-MS(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 등 다양한 특수장비들을 이용하여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아미노산/지방산/유기산 검사, 중금속/미네랄/각종 비타민 검사와 면역억제제/간질치료제 등을 포함한 약물농도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탠덤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약물검사를 비롯하여
탠덤매스 검사가 표준검사법으로 알려진 비타민 D2,
D3 분획 검사와 알도스테론 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도스테론은 검사법의 의료고시 이후 국내 최초로 검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프탈레이트 대사체와 비스페놀을
포함한 환경성 페놀류 등의 환경호르몬 검사법도 자체 개발하여 외부 질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감도가 높은 최신 사양의 질량분석기를
도입하여 검사에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고해상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로는 카테콜라민과 그 대사물질,
그리고 비타민 D를 제외한 모든 비타민을 분석하고 있고 특히,
Vitamin B6와 E는 국내 유일하게 분획으로 결과 제공하고 있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ICP-MS를 이용하여 혈액, 소변, 모발 등 다양한 시료에서 중금속(납, 카드뮴 등) 및
미네랄(구리,아연 등)을 분석하고 있고 진단검사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비소 분획검사를 시행하여, 한국인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비소가 실제 체내 유해한 비소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 그 외 검사실의 환경과 안전을 위하여 모든 실험테이블에 국소배기장치가 설비되어 있고, 특수장비에 공급되는 다양한 가스는 중앙가스 공급실로부터 각 라인을 통해 공급하며 가스 모니터를 통해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신생아 선천성대사이상 선별검사
- 면역억제제, 항간질제, 항진균제 등 치료적약물농도 검사(TDM)
- Amino acid, Organic acid, 유전질환 biomarkers
- Catecholamine & metabolites 및 각종 Hormone
- 수용성 및 지용성 Vitamin
- 중금속 및 미량원소 (모발, 혈액, 소변)
- 대부분의 만성질환은 질병이 발현되기 전에 장기적으로 신체기능이 저하되는 시기를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저하를 진단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최신의학을 기능의학(Functional medicine)이라고 합니다. 기능의학검사팀은 자동화장비와 함께 질량분석기 등의 이화학장비로 신체의 대사 및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Biomarker)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유기산 대사균형검사
- 모발 중금속 및 미네랄검사
- 음식물알러지검사
- 산화스트레스검사 외 다수
- 세포유전 검사실에서는 산전 진단, 선천성 질환 및 혈액종양질환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필수적인 염색체 검사 및 분자세포유전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첨단 자동화 핵형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염색체 핵형분석을 수행하며,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을 비롯한 최신 분자세포유전검사를 수행하여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1) 염색체 검사
- 산전 염색체 검사(양수, 융모막, 제대혈, 태아조직)
- 선천성 질환 염색체 검사(말초혈액)
- 혈액종양질환 염색체 검사(말초혈액, 골수, 기타)
- 2) 분자세포유전학 검사(FISH): 산전 검사, 선천성 질환, 혈액종양질환, 고형종양
- 세포병리 검사는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채취한 세포를 유리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을 통해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 기법입니다.
- 비교적 비용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집단에서 암의 조기발견을 위해 시행하는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서 유용합니다. 조기 발견 뿐만 아니라, 암의 진단도 가능하며, 수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또는 경미한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추적 관찰에 있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 세포병리 검사를 채취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자궁경부세포나, 가래, 소변, 체액 등에 포함되어 나오는 세포와 같이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오는 세포를 관찰하는 탈락 세포 검사와, 갑상선, 유방, 림프절 등과 같이 가는 침이 달린 바늘로 병변 부위를 찔러 흡인한 세포를 관찰하는 세침흡인 세포검사가 있습니다.
- 이외에도 액상세포 검사가 있는데, 세포를 유리 슬라이드에 직접 도말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탈락세포와 세침흡인세포 검체를 특수 보존액이 들어 있는 전용 용기에 넣어서 본사로 이송한 뒤, 전용 특수 장비로 슬라이드를 도말하여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세포의 손실이 적고 변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세포병리팀은 매년 대한병리학회 및 대한세포병리학회의 질관리 인증평가를 높은 점수로 통과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도 원내 재평가를 통해 늘 검사의 퀄리티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조직병리검사]조직병리검사는 인체에서 생검 혹은 수술의 과정을 거쳐 떼어낸
인체 조직을 대상으로 병리전문의가 최종진단을 내리는 검사입니다. 진단(diagnosis)은 다양한 임상과나 영상의학과
등에서도 내릴 수 있는 의료 행위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간접적인 증거를 기반으로 내리는 간접 진단인데 반해서,
조직병리검사의 진단은 직접적으로 인체에서 채취한 조직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내리기 때문에, 직접적인 진단이며, 많은
경우 최종 진단(final diagnosis)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내려진 진단은 환자의 치료 방향, 즉 약물 치료,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의 선택의 근거가 되며, 진단에 포함된 병변의 크기, 병변의 경계면, 전이 여부 등의 데이터는 암환자의 생존기간이나,
기타 질환 환자의 치료에 대한 반응성 등 예후(prognosis)를 추정하는 근거를 제공하게 됩니다.
- 조직병리검사는 먼저 육안검사를 통해 검체를 확인하고 크기를 측정하며 특이한 육안 소견의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그 후 파라핀 포매, 박절, 염색, 봉입 등의 과정을 거쳐 현미경용 슬라이드를 제작하게 됩니다. 제작된 슬라이드는
병리전문의들이 광학현미경으로 검사하여 판독하게 되고, 자세한 병리 진단지의 형태로 보고됩니다.
- 진단 과정에서 광학현미경 소견 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경우, 필요에 따라 감별 진단을 위한 특수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내에 상주하는 여러
전문의들의 자문 회의를 거쳐 보다 정확한 진단을 도출하는 경우도 있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국내외 의과대학 병리과 교수님들께 외부 자문을 요청하여 진단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SCL 조직병리팀은 매년 대한병리학회의 질관리 인증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있으며, 자체적으로도 원내
질관리를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검사의 질을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병리 전문의와 임상의 간의 원활한 소통에 노력하고
있으며, 원내에서도 병리사와 전문의 간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검사에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 [면역병리 검사]면역병리검사는 조직 내 세포에서 발현하는 특이 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을 통해 세포의 종류와
기원을 확인함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주는 검사 방법입니다.
- 세포에서 발현하는 항원은, 광학현미경으로 진단하기에는 그 크기가 작거나 일반적인 염색법으로는
정확한 성상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에 발색 마커(marker)를
부착함으로써 소량의 항원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게 만들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항원의 종류나 성상을 판단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과거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암종의 감별진단을 위해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항암제가 실용화되고 그 효용이 주목받으면서, 항암 치료의 과정에서 치료 방법 및 약제를
결정하고 예후를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SCL 조직병리팀은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위해 다양한 자동화 장비를 사용하여 정확도와 재현도를
높이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항체로 염색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휴먼지놈 검사실은 국내 검사센터 중 최초로 유전자 검사를 임상 진단분야에 도입하였으며, 현재 사람 유전자검사 분야에 최신 분자유전학 검사 기술과 장비, 최첨단 시설 및 유전자 분석 전문 인력을 기반으로 사람 유전자와 관련된 분자유전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유전체 분석 검사분야의 발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유전성 질환관련 유전자검사, 종양관련 유전자검사, 이식관련 유전자검사 및 친자확인검사 등 사람 유전자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신속하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유전성 질환 관련 유전자 검사
- 종양 관련 유전자 검사
- 이식관련 유전자검사
- 친자확인검사
- 마이지놈팀에서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CMA)를 이용한 유전자검사를 시행합니다. 전문인력이 최첨단 MiseqDx, GCS3000 Dx v.2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대량의 유전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최신 연구 자료를 토대로 검사결과를 해석함으로써 질병의 진단은 물론 개인별 치료 약제의 선택, 질병의 예후 예측, 정신지체, 발달장애, 자폐, 선천성 기형에 관한 신뢰성 있는 검사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유전성 질환 유전자 패널 검사
- 비유전성 질환 유전자 패널 검사
-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검사(CMA)
- 특수미생물분석팀은 2019년 8월 감염질환의 효과적인 진단은 물론 관련 검사의 유기적 수행을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특히 감염질환 관련 검사만을 전담하는 통합 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검사체계 및 전문성 강화를 목표로 검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염질환 전담 인력을 배치해 전문 지식 및 전문성을 높여 감염병 관련 검사법 평가, 내성기전 연구, 희귀균주 분류 및 동정을 통한 미생물 자원화 등 연구 분야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주요 검사 항목]
- 항산균 도말 및 배양
- TB/NTM real-time PCR
- 항결핵제 감수성검사
- 신속 내성검사
- Xpert MTB/RIF
- 비결핵항산균 동정
- 비결핵항산균 감수성검사
- 잠복결핵 진단검사 등 결핵 진단을 위한 모든 검사
- EQA자원개발팀(External Quality Assurance Resource Development)은 표준화된 자원제작 지침을 기반으로 엄격한 품질 관리 아래 국내 정도관리물질(임상화학/면역학)을 개발하여 제작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과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의 연구용역과제를 주 연구과제로 수행하며, 균질하고 안정적인 물질 제작과 공급을 통해 국내 진단 검사실의 질 향상과 검사의 표준화 및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행 과제]
수행 연도 |
연구 과제 |
2019년 ~ 진행 중 |
- 신빙도조사사업 바이러스 항원, 항체검사 1,2,3 프로그램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
2020년 ~ 2021년 |
- 신빙도조사사업 호르몬3(AMH) 프로그램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
2021년 ~ 진행 중 |
- 신빙도조사사업 알레르기검사 프로그램 /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
2021년 ~ 진행 중 |
- HIV 검사용 표준물질 생산 및 숙련도평가 운영 / 질병관리청
|